리눅스 서버환경에서 Oracle데이터 베이스나 다른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할 때,
Too Many Open FIles 이라는 오류를 발생하면서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죽는 경우 가 발생한다.
이는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있는 리소스 제한한 양(Open 할수 있는 최대 양) 보다 리소스를 더 사용할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라고 한다.
따라서 오픈 가능한 파일개수 설정 과 ulimit 명령어를 사용하여 프로세스가 더 많은 리소스를 사용 할 수있도록 Limit를 늘려 주면 된다
Open File Config
1. 오픈 가능한 파일 최대 개수 확인
cat /proc/sys/fs/file-max
2. 오픈 중일 파일 개수 확인
cat /proc/sys/fs/file-nr
3. 오픈 파일 최대 개수 변경
vim /etc/sysctl.conf
// fs.file-max=[파일갯수] <-- 입력
ulimit
프로세스들에 대한 시스템 자원사용을 제한 할 수 있는 명령어
1.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리소스(자원) 제한사항 보기
ulimit -a
2. 기타 사용옵션
-s : stack 최대크기 제한
-t : CPU의 초당 사용시간 제한
-m : - 메모리에 상주 가능한 최대 크기 제한
-c : core파일이 생성될때의 최대 크기 제한
-u : 특정 사용자의 사용가능한 프로세스의 최대갯수 제한 :
-v : 쉘이 사용할수 있는 가상 메모리의 최대크기 제한
-n : 오픈가능한 FD의 갯수 제한 간혹 too many open files 등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값을 수정하여 해결 할 수 있다.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etstat 명령어 사용법 (0) | 2019.07.03 |
---|---|
route 명령어 사용법 (0) | 2019.07.03 |
Telnet 설치 및 접속 명령어 (0) | 2019.07.03 |
Firewalld 를 사용한 방화벽 관리 (0) | 2019.07.03 |
[CentOS/RaspbianOS] OS 부팅시 자동 시작 프로그램 설정 방법 (0) | 2019.07.03 |
댓글